8월이 시작되는 다음주 화요일 저녁!
🌟들다방에서 입체 낭독 공연🌟이 열립니다.
들다방 예술인 쭈야님이 소속된 극단이 들다방을 찾아주실 예정인데요.
전문배우들의 생동감 있는 연기!
악사들이 연주하는 정감 있는 라이브 음악!
이 모두가 함께하는 입체 낭독 공연!!
흔치 않은 기회, 모두 보러 오세요. 참가비는 따로 없습니다. 😊


들다방 창작동화 낭독극장 포스터. 여덟 살도 여든 살도 함께보는 창작동화 낭독극장.
일시 2025년 8월 5일 화요일 오후 일곱시, 장소 들다방(동숭길 25 유리빌딩 4층)
포스터는 크레파스화 같은 밝은 그림이 전면에 그려져 있다. 초록 잔디밭 위에서 노인과 어린이가 책을 함께 펴들고 바라보는 이미지. 푸른 하늘에는 산모양으로 두둥실 솟아오른 흰 구름이 있고 그 옆으로 강아지 구름, 민들레 구름, 하트 구름, 손수레 구름이 함께 떠 있다. 상단 왼편 구석에 들다방 로고가 도장처럼 박혀 있다.

공연 소개

전문배우들의 생동감 있는 연기! 악사들이 연주하는 정감 있는 라이브 음악! 이 모두가 함께하는 입체낭독공연!!
<여덟 살도 여든 살도 함께보는 창작동화 낭독극장>은 악사의 라이브 연주와 함께 동화 두 편을 전문 배우들의 생생한 낭독과 연기로 만나는 공연입니다. 동화 특유의 언어들이 배우의 상상력으로 확대대고 전문 연주자들의 음악과 함께 감동과 재미로 전달됩니다.

작품 소개

(1) 할머니와 순구
: 순구는 여든이 넘은 할머니와 살고 있다. 할머니는 홀로 폐지를 주워 팔아 하루하루 겨우 살아간다. 이른 아침 졸린 눈을 비비며 할머니를 따라나서 폐지 줍기를 돕는 순구가 할머니는 너무나 사랑스럽다. 그런 어느 날, 할머니가 갑자기 순구를 몰라보기 시작한다. 할머니에게 무슨 일이 생긴 걸까?
(2) 사라지는 것들
민들레 홀씨로 태어난 주인공은 바람을 따라 이곳 저곳을 떠돌아다니며 여행하다 어느 오래된 공중전화와 우체통 근처 작은 땅 위에 내려앉게 된다 이제는 사람들이 찾지 않는 존재가 된 공중전화와 우체통은 쓸쓸하고 외로운 하루에 대해 민들레에게 이야기하며 우정을 나눈다. 그런 어느날, 우체통을 철거한다는 소식이 들려오는데… 이들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만든 사람들

김보경, 정희영, 진준엽, 김진희, 방선혜, 김한솔, 박문민. 작/정희영, 예술감독 및 피디 하일호, 연출 김은미, 조명 및 영상 김한솔, 무대 방선혜, 음향 김수현, 오퍼레이터 한승우, 악사 송한얼, 민주화.

 

* 들다방은 마로니에공원 뒤편 ‘대항로 빌딩’에 위치한 카페이자 급식소입니다. 장애인권운동 단체들의 진지 ‘대항로 빌딩’에는 노들장애인야학,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장애인권운동 단체들이 모여 있습니다. 이곳에서 들다방은 밥과 커피를 제공하는 에너지 보급소이자, 다양한 몸을 가진 이들이 교류하는 복합문화공간이 되고자 합니다.

*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주최하는 2025년 예술로 기획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주최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 주관 : 들다방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글쓴이 : 들다방

댓글 남기기